문제 1
다음은 직장 내 괴롭힘의 판단기준에 대한 설명이다. 거리가 먼 것은?
- 행위자
- 피해자
- 행위 장소
- 행동
정답: 3. 행위 장소
해설: 판단 요소는 행위자, 피해자, 행위 내용(행동)이며, 장소는 핵심 기준이 아닙니다.
문제 2
다음 중 뇌심혈관질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?
- 식이요법
- 성별
- 유전적 요인
- 연령
정답: 1. 식이요법
해설: 식습관·운동 등은 개인이 교정 가능한 요인이고, 성별·유전·연령은 고정 요인입니다.
문제 3
다음 중 밀폐공간 보호구 및 구조장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- 안전대
- 방독마스크
- 보호가드
- 삼각대
정답: 3. 보호가드
해설: 밀폐공간에서는 안전대·삼각대 같은 구조장비와 방독마스크 같은 호흡보호구를 사용해야 하며, 보호가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.
문제 4
다음은 중대재해 감축 추진 기본 원칙에 대한 설명이다. 적절하지 않은 것은?
- 책임성입니다.
- 현장성입니다.
- 혁신성입니다.
- 준비성입니다.
정답: 4. 준비성입니다.
해설: 4대 원칙은 책임성·현장성·혁신성·소통성이며, ‘준비성’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문제 5
다음은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. 적절하지 않은 것은?
- 금지표지
- 경고표지
- 지시표지
- 교통표지
정답: 4. 교통표지
해설: 산업안전보건표지는 금지·경고·지시·안내로 구분되며, 교통표지는 도로용으로 별도 분류됩니다.
문제 6
다음은 가벼운 폐쇄성 상처의 응급처치 순서이다. 맞는 것은?
- 쉬기 → 얼음대기 → 압박하기 → 올려주기
- 얼음대기 → 쉬기 → 올려주기 → 압박하기
- 올려주기 → 얼음대기 → 압박하기 → 쉬기
- 압박하기 → 올려주기 → 쉬기 → 얼음대기
정답: 2. 얼음대기 → 쉬기 → 올려주기 → 압박하기
해설: RICE 요법(Rest, Ice, Compression, Elevation) 순서입니다.
문제 7
다음 중 사용자가 직장 내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신체적·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뜻하는 것은?
- 직장 내 성희롱
- 직장 내 괴롭힘
- 직장 내 성폭력
- 직장 내 비하
정답: 2. 직장 내 괴롭힘
해설: 괴롭힘은 지위·관계를 이용한 언어·행동적 고통 행위를 포괄합니다.
문제 8
다음은 뇌심혈관질환 관리에서 회사 차원에서의 관리방법에 대한 설명이다. 적절하지 않은 것은?
- 근로자 건강관리를 위한 역학조사·건강검진 등으로 관리할 수 있다.
- 산업안전보건법에서 보건관리 사항의 준수 등으로 관리할 수 있다.
- 작업환경 개선으로 관리할 수 있다.
- 근로자 기초질환 관리로 관리할 수 있다.
정답: 4. 근로자 기초질환 관리로 관리할 수 있다.
해설: 기초질환 관리는 개인 건강영역으로 회사 차원 관리 항목이 아닙니다.
문제 9
밀폐공간 내 유해한 상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- 산소농도 18% 미만
- 탄산가스 1.5% 이하
- 황화수소 10ppm 이상
- 산소농도 23.5% 이상
정답: 4. 산소농도 23.5% 이상
해설: 과산소 상태(23.5% 초과)는 일반 유해 상태 기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문제 10
다음 중 중대재해처벌법의 중대시민재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- 사망자 1명 이상 발생
- 동일한 사고로 1개월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 5명 발생
- 동일한 원인으로 3개월 치료가 필요한 질병자 10명 발생
- 동일한 사고로 2개월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 10명 발생
정답: 4. 동일한 사고로 2개월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 10명 발생
해설: 기준은 사망 1명 이상 또는 3개월 이상 치료 부상자·질병자 10명 이상입니다.